인공지능

'웹 브라우저' vs '검색엔진', 무엇이 다른가???

시골정원 2023. 5. 24. 08:00

 

대부분의 사람들이 2010년 초반까지는 인터넷을 사용하려면 컴퓨터 전원을 켠 후
윈도우즈가 부팅되면 익스플로러(Explorer)라는 'e' 모양의 하늘색 아이콘을 더블 클릭하고
다음(Daum)이나 네이버(Naver) 혹은 야후(Yahoo)를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를 찾았던 기억이 있습니다.

 

먼저, '웹 브라우저'와 '검색 엔진'이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1. '웹 브라우저'

 

1) 정의

 

거미줄이라는 의미의 '웹(web)'과 둘러보는 사람이란 의미의 '브라우저(browser)'의 합성어로,
인터넷(웹)을 검색(둘러보다)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입니다.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와 CSS(Cascading Style Sheets)라는 언어를 사용합니다.

 

2) 종류

 

현재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구글의 크롬(Chrome)을 필두로, 익스플로러(Explorer)에서 업그레이드된 마이크로소프트의 엣지(Edge), 아이폰이나 맥북의 인기로 국내에도 많은 유저가 있는 애플의 사파리(Safari)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기타 종류
  • 모질라 - 파이어폭스 (Firefox)
  • 오페라 - 오페라 (Opera)
  • 브레이브 - 브레이브 (Brave)

 

3) 특징

 

아래의 통계에서 알 수 있듯이 2023년 4월 기준으로 크롬(Chrome)이 63.5%로 압도적인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사파리와 그 밖의 소프트웨어가 뒤를 따르고 있습니다.

 

2023년 4월 전세계 웹브라우저 점유율
※ 브라우저 세계 시장 점유율 / 출처 : statcounter.com

개인적으로 삼성 모바일을 사용하고 있지만 웹 브라우저는 사용하고 있지 않기에, 삼성의 선전이 눈에 띄며 모바일에 포함된 기본 소프트웨어의 영향력이 상당해 보입니다.

 

 

  • 크롬 : 가장 대중적이며, 넓은 확장성을 가짐
  • 엣지 : 최근 업그레이드되었으며, 이전보다 보안이 강화됨
  • 사파리 : 애플 제품에 제공되는 브라우저로 자사 제품에 최적화
  • 파이어폭스 : 속도와 개인정보 보호에 중점 (오픈소스 제공)
  • 오페라 : 광고 차단, 데이터 압축, 내장 VPN이 가능함
  • 브레이브 : 개인정보 보호, 추적 방지 등의 기능을 제공

 


 

2. '검색 엔진'

 

1) 정의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이나 서비스로, '웹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하며,  웹 페이지, 문서, 이미지, 동영상 등 다양한 정보를 나열하여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주요 기능
  • 크롤링(Crawling) : 데이터의 수집
  • 인덱싱(Indexing) : 수집한 데이터의 색인화 (효율적인 검색을 위한 구조화 작업)
  • 검색 알고리즘(Search Algorithm) : 검색어와 일치하는 결과를 찾기 위한 명령어

 

2) 종류

 

아래의 통계에서 알 수 있듯이 2023년 4월 기준으로 크롬(Chrome)이 92.6%로 압도적인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빙(Bing)과 얀덱스(Yandex) 그리고 야후(Yahoo)가 뒤를 따르고 있습니다.

검색엔진 세계 시장 점유율
※ 검색엔진 세계 시장 점유율 / 출처 : statcounter.com

 

2000년대 초반 이후로 국내에서는 야후(Yahoo)를 거의 찾아볼 수 없으나 세계 시장에서는 아직도 순위권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국내에서 가장 인기 있는 네이버(Naver)는 아시아 시장에서조차 순위권에 없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검색엔진 아시아 시장 점유율
※ 검색엔진 아시아 시장 점유율 / 출처 : statcounter.com

 

  • 구글(Google) : 전 세계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검색 엔진
  • 네이버(Naver) : 국내에서 가장 널리 쓰이며, 국내 사용자에게 최적화 되어 있음 (금융, 보험, 카드 등과 연계)
  • 다음(Daum) : 현재는 카카오와 통합되었으며, 특정 층에서만 사용하는 느낌이 있음
  • 빙(Bing) :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최근 챗GPT와의 협업으로 대화형 인공지능 챗봇을 통해 사용자 증대에 힘쓰고 있음
  • 바이두(Baidu) : 중국에서 개발한 검색 엔진

 

3) 특징

검색 엔진은 어떠한 웹브라우저에서도 접근이 가능하나, (크롬에서 네이버로, 엣지에서 구글로...)
제품의 쾌적한 사용을 위해서는 제조사의 브라우저를 사용하거나, 거주 지역에서 널리 쓰이는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것이라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