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만 나이', 계산 방법은???

시골정원 2023. 6. 2. 12:30

 

 

'만 나이'로 법적, 사회적 기준을 통일시키는 작업은 윤석열 정부의 국정과제로 진행되었으며, 2023년 6월 28일을 기준으로  대한민국의 모든 나이는 '만 나이'가 적용됩니다.

 

기존에 민법(법무부), 행정기본법(법제처) 및 개별법 등에 '연 나이'로 표현된 경우가 많기 때문인데, 앞으로는 모두 통일된다고 합니다. 

 

- 연 나이 : 생일과 상관없이 현재 연도에서 출생 연도를 빼서 계산

 

 

만 나이 계산방법

 

1. '만 나이' 계산방법

 

태어나면 1살에서 매년 1월 1일에 1살씩 더해지는 것이 아닌, 출생일 기준 0살로 시작해서, 생일이 지나게 되면 1살씩 나이가 더해지게 되는 것입니다. 

 

생일이 지나지 않은 경우
  • 현재 년도에서 태어난 연도를 빼고 추가로 1을 빼줌※ 산식 : 현재 연도 - 출생 연도 - 1
- 예시
1) 생년월일 : 1982.07.10 (기준일 : 2023.06.28)
    ▶ 만 나이 : 40세 (40 = 2023 - 1982 -1)

 

생일인 경우 (생일을 포함한 이전일)
  • 현재 년도에서 태어난 연도를 뺌
    ※ 산식 : 현재 연도 - 출생 연도
- 예시
1) 생년월일 : 1982.06.28 (기준일 : 2023.06.28)
    ▶ 만 나이 : 42세 (41 = 2023 - 1982)

 

 

2. 관련 인기 질문

 

취학 의무 연령 변화 여부
  • 당초와 변경된 내용 없음
    ※ 만 6세가 되는 다음 해 3/1 입학

 

동급생 내 호칭
  • 같은 학년이지만 나이가 달라질 수 있으나 호칭을 다르게 쓸 필요는 없다고 하며, 이에 따라 한국의 엄격한 서열 문화도 점차 사라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칠순, 팔순의 만 나이 적용 여부
  • 환갑(만 60세)을 제외한 칠순, 팔순 등은 한국식 나이로 관습화 되어 있기에, 이에 대한 부분까지 강제로 변경할 사항은 아니라고 합니다. 다만, 다른 아시아 문화권(중국, 일본 등)과 같이  만 나이 기준으로 자연스레 바뀔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아울러, 회사 등에서 축하금 등의 지급에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국가에서 유예기간을 두는 등의 권고를 할 예정이라 합니다.

 

국민연금, 기초연금, 공무원 정년 등의 변화
  • 당초와 변경된 내용 없음
    ※ 현행 법령에서 만 나이로 규정함

 

주민등록증 등 증명서 유효 여부
  • 당초와 변경된 내용 없음
    ※ 현행 법령에서 만 나이로 규정함